프로젝트명 | [SSK사업 1단계] 사회통합 국제비교 연구모형 개발 및 측정 |
---|---|
지원기관 | 한국연구재단 |
연구기간 | 2011-09-01 ~ 2014-08-31 |
연구책임자 | 조병희 |
본 연구팀은 DB구축팀으로서 1차년도에는 사회통합 관련 문헌과 대표적인 국제지표들을 검토하여 아시아권 학자들 간의 비교연구 네트워크에서 산출된 ‘표준화된 사회의 질 설문조사자료’(SQSQ)를 재구성한 후, 소속 연구소 중점연구소 사업연구팀의 조사국가인 유로존 3개국가와 함께 본 연구팀 조사국가인 터키, 그리고 한국에 대한 설문조사를 동시에 진행하고, 분석대상 국가들의 거시지표 및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조사한 설문지와 동일한 내용으로 현 아시아 비교연구 네트워크에서 포괄하지 못하는 베트남에 대한 서베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년에 구축한 국가거시지표 자료에서 사회통합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거시지표를 통한 여러 국가들의 유형화를 시도하여, 사회통합에 필요한 주요한 두 기준을 발견하였다. 하나는 복지지출, 재정건전성, 합의민주주의전통으로 구성된 축이고, 다른 하나는 거버넌스, 신뢰, 투명성으로 구성된 축이다. 특히 1차년에 구축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사회통합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논문으로 발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이의 결과로 “‘좋은 사회’는 삶의 만족을 높이는가: 5개국 개인 삶의 만족과 사회갈등해소역량”, “사회통합 역량으로 바라본 터키 사회의 질”, “Type of Tru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Five Countries: Results of Social Quality Survey”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들은 연구팀이 구축한 개인인식 통합자료를 활용하여 사회통합역량 개념틀의 유용성을 검증해 본 것이다. 2차년 실증연구의 결론은 사회통합은 갈등이 없는 상태라기 보다는 갈등을 제도화하고 순치시켜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역동적 능력을 갖춘 사회가 좋은 사회라는 점이다.
3차년도에는 국제연구네트워크 활용의 한 좋은 사례로서, 본 연구팀은 소속 연구소의 조사비 지원과 협업, 국립대만대학교 위험사회와 정책연구 센터(Risk Society and Policy Research Center)와의 협업을 통해 1,2차년 수집자료와 비교가능한 대만 자료 조사를 진행해 왔다. 국내에 대만의 경우 다른 사회와 비교가능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3차년의 대만조사는 적은 연구비로 협업을 통해 귀중한 자료를 수집하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현지 조사와 자료 가공은 3년차 연구기간 내에 완료될 것으로 기대된다. 3차년도에도 1,2차년도 수집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여 일부는 논문으로 출판하였고(“공적 제도 인식이 친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다른 경우는 현재 진행 중에 있다. 특히 3차년의 중요한 성과는 연구팀의 사회통합의 이론틀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개념화에만 그쳤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잠재적 갈등소지와 사회적 통합역량이라는 간단하고 명료한 사회통합 측정방법을 제시하여 이의 유용성을 검증해 본 것이다(“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그리고 국제비교”). 이는 한국 사회정책 연구의 대표적 저널지인, 한국사회정책학회지인 '한국사회정책'에 게재되었고, 향후 사회통합의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국제비교의 틀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연차 | 계획 | 실적 |
---|---|---|
1년차 |
기존의 양극화와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지표에 대한 탐색, 비교 |
국내외에서 출판된 양극화와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서들, 실증분석 참고문헌과 관련 보고서를 검토 |
국가간 비교를 위한 거시지표 원자료 수집 |
OECD, World Bank, ILO, UNDP, Eurobatometer, World Income Inequality Database, WVS(World Values Survey), Gallop World Poll 등의 자료를 수집 |
|
사회통합 실태 분석을 위한 표준화된 설문지 개발 및 서베이 조사 |
연구팀이 소속된 연구소와 공동으로 연구팀의 DB구축의 대상국가(한국, 터키)와 유럽국가 3개국(그리스, 이탈리아, 독일) 대상의 표준화된 설문지 개발 및 조사 |
|
연구대상국가의 질적 자료 수집 |
유럽3개국과 함께 터키의 사회통합에 관한 터키 엘리트 인터뷰, 터키에 대한 기초자료 및 터키 전문가 특강, 한국-터키 연구자 국제워크샵을 통한 질적 정보 수집 |
|
2년차 |
1차년 서베이 자료 실증분석 |
1차년 사회통합 실태 서베이 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 및 논문게재 |
국가간 비교를 위한 거시지표 원자료로 지표체계 개발 |
이론적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 선정과 지표체계 개발 |
|
양극화와 사회통합에 관한 지표 개발 및 지수 산출, 분석 |
양극화와 사회통합의 국가간 비교연구를 위해 기존 연구와 지표검토를 통한 조작적 정의에 따른 지수(Index) 개발 산출된 지수를 활용한 국가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지수의 유용성 및 향후 추가 개발전략 검토 |
|
사회통합 실태 서베이 조사 |
연구팀이 구축해온 아시아 네트워크 국제협력 연구 강화와 확장을 위해 1차년에 개발된 설문지로 베트남 조사 실시 |
|
3년차 |
1,2차년 서베이 자료 실증분석 및 사회통합 주제 연구 |
한국, 터키, 베트남, 유럽3개국 자료 실증분석 및 사회통합 관련 주제 연구. 논문 발표 및 게재 |
양극화 지수 분석 |
개발된 양극화 지수를 활용한 실증분석. 논문 발표 및 게재 |
|
사회통합 실태 서베이 조사 |
1차년에 개발된 설문지로 대만 조사 진행 |
Phone : 02-880-8799
Email : isdpr@snu.ac.kr
151-742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종합연구동 220동 540호
사회발전연구소는 1960년대에 인구연구소로 시작하여 한국사회의 다각적인 발전 관련 연구를 추진해 왔으며, 최근에는 국제화·세계화를 폭넓게 연구에 포함시키고자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과제 “사회발전과 사회의 질: 한국, 동아시아, OECD 국가 국제비교와 한국사회의 질적 전환 모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