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ies & Achievements

활동과 성과

Home > 활동과 성과 > 프로젝트 > 종료

프로젝트(종료)

Research Project

프로젝트명 ‘사회정신건강’의 개념과 측정에 관한 연구
지원기관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
연구기간 2014-04-01 ~ 2015-12-31
연구책임자 이재열
주요내용

대한민국은 2차 대전 이후 독립한 나라들 중에 놀라운 경제성장과 성공적인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유일한 나라임. 그러나 경제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상대적 박탈감과 불안감이 더 커졌다는 점에서 ‘풍요의 역설’에 시달리고 있음. 또한 민주화 이후에 투표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무당파가 증가하며, 정치인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다는 점에서 ‘민주화의 역설’에 시달리고 있음. 어떻게 국제적 기준으로는 성공적인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에서 정작 국민들의 삶의 질은 최하위가 되었고, 자살률은 OECD최고 수준을 기록하게 되었는가. 배고픈(hungry)사회가 분노하는(angry) 사회로 변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풍요의 역설과 민주화의 역설은 사회정신건강의 측면에서도 역설을 드러내고 있음. 사회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사람들이 오히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미래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면서 상호 신뢰와 의기투합으로 강력한 응집력을 발휘했던 반면, 객관적으로는 선진국에 들어섰다고 평가받는 현재 한국인은 미래에 대하여 불안해하며, 불신의 정도가 심해졌고, 또한 양극화의 정도도 심해졌다고 인식되고 있음.
● 최근 50여년간 한국이 농촌중심의 전통사회에서 정보화된 탈현대사회로 압축적 사회변화를 경험한데 비해,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회규범이나 도덕성은 이에 비례하여 충분히 계약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로 변화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뒤르케임(Durkheim)이 지적한 바와 같이 아노미(anomie)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됨.
● 후쿠야마(Fukuyama)의 분석을 빌리면, 일반적 신뢰를 토대로 하는 선진화된 사회와는 달리 한국사회는 특수한 형태의 신뢰에 기반을 두고 있어, 사회의 도덕적 자원(moral resource)의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평가됨.
● 네트워크화가 진전되면서 과거시대에는 볼 수 없는 돌발적인 네트워크상의 쏠림 현상(tipping)들이 점차 위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성장한 젊은이들, 즉 네트워크세대는 그 가치관과 사고방식, 그리고 사유의 방식에서도 기존 베이비붐세대나 노인세대와는 질적으로 다른 모습을 보여줌.
● 박한상 사건이나, 지존파 사건 등 사회적으로 충격을 준 일탈행위나 범죄행위들이 빈발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범죄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은 기능주의적으로 해석하면, 사회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사회해체의 현상으로 해석됨.
● 따라서 범죄나 자살의 증가, 불신과 불안의 증가, 사회적 불공정에 대한 분노나 좌절로 인해 빈발하는 사회적 저항 등을 개인의 심리로 환원하기 보다는, 사회적인 기원을 가진 ‘사회정신건강’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며, 그 추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화 작업이 요구됨.
● 결과적으로 현재 한국사회의 문제는 GDP의 증가로 요약되는 경제적 성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음. 어떻게 ‘좋은 사회’를 만들 것인가 하는 시대적 과제는 ‘좋은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적 구성물로서의 소프트웨어, 즉 규범과 도덕과 감성과 가치가 결부된 ‘건강한 사회정신’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또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을 갖추어야 함.
● 이는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문제가 된 ‘건강치 못한’ 사회적 증상들에 대한 유형화와 측정, 그리고 건강한 사회적 특성에 대한 규명을 필요로 하며, ‘건강치 못한’ 사회적 증상들이 대두하게 된 메카니즘에 대한 설명을 요구함.
● 1차년도인 2014년에는 브레인스토밍과 사회정신건강에 대한 개념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검토, 그리고 전형적인 사례들에 대한 검토, 초점집단토론(Focuss Group Discussion)이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거쳐 ‘사회정신건강’에 관한 근거이론(grounded theory)를 마련
● 2차년도인 2015년에는 근거이론을 토대로 ‘사회정신건강’을 측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설문조사 문항지를 개발하여 <연례 한국사회정신건강조사>(가칭)를 시행하고,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
● 이러한 전략은 1차년도의 질적 연구와 2차년도의 양적 연구를 결합하는 방법론적 삼각측량법(methodological triangulation)을 통하여 입체적으로 사회정신건강을 개념화하고 측정하는 전략임.


TOP